우리 팀은 2014년 4월 인피티니의 Q50 2.2d와 Q50 S 하이브리드를 각각 비교한 적이 있다. 특히 Q50 S 하이브리드의 뛰어난 성능은 여전히 인상적이다. 하지만, 그런 Q50을 추천하는 것은 부담스러웠다. 가격 때문에. 출시 당시 Q50S 가격은 6760만원이었다.
하이브리드 모델은 Q50의 이미지 메이커 역할을 한다. 그리고 디젤은 판매를 주도한다. 이에 맞서 가격을 5억5000만원대 중반으로 낮춘 'Q50 S 하이브리드 에센스'가 출시됐다. 인피니티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본격적으로 판매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먼저 기존 하이브리드 모델은 하이테크라는 트림으로 나뉘는데 가격은 6760만 원에서 619만 원으로 떨어졌다. 여기에 일부 구성이 지워져 가격이 5690만원인 '센스' 트림을 더했다. 여기에 연말까지 감세안을 내놓으면 에센스와 하이텍의 가격은 5620만 원, 감세안이 제시되면 6120만 원으로 낮아진다.
Q50 S Essence는 하이테크에서 일부 부품을 누락했다. 구체적으로는 서라운드 뷰 모니터, 어댑티브 전방 조명 시스템, 지능형 크루즈 컨트롤, 전방 충돌 경고, 비상 브레이크 및 충돌 전 안전 벨트다. 이 장비는 주로 능동 안전시스템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많은 장비가 빠진 것 같지만 Q50 자체가 이처럼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춘 덕분에 기초공사의 경쟁력은 여전히 높다. 차선을 벗어나 LED 조명 구성을 하지 않도록 자가 교정을 하는 기능도 동일하다. 또한 좌석, 14개의 보스 오디오 시스템, 패들 시프트, 2개의 스크린을 갖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처럼 내가 감각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지역은 지상관측기와 지능형 크루즈 컨트롤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외모에 차이가 없다. '에센스'나 '하이테크' 배지도 붙이지 않는다. 보통 이 그림의 외관은 지능형 크루즈 컨트롤의 적용 여부에 따라 다르지만 Q50 S 하이브리드는 동일하다. 정말 눈썰미가 좋다면, 사이드뷰 미러의 앞쪽과 아래쪽에 부착된 인피니티 엠블럼에 서라운드 뷰 모니터를 위한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가격은 6760만 원에서 5620만 원으로 떨어졌다. 경쟁 모델 가격대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아래 표를 확인해 봅시다.
수치적 성과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정확히 말하면 반칙이다. 배기·전기 모터를 가장 많이 추가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차량 크기는 중형 세단과 맞먹는다. 스펙과 구성에 대한 인식이 압도적으로 부족해 소비자들에게 어필한다. 가격 면에서는 경쟁 모델보다 조금 높았지만 지금은 비교가 될 정도로 떨어진 점에 주목하고 싶다.
동시에 연비도 높다. 혼성만의 강점이다. Q50 S 하이브리드는 전기 모터의 토크가 29 kgm 이상이다. 덕분에 전기모터를 통해서만 시속 100km의 속도로 달릴 수 있는 환경에서도 운전이 가능하다. 연비가 크게 개선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정체 구간에서 속도를 빨리 내지 않으면 좀처럼 엔진을 쓰지 않는다. 정체 구간이 불과 몇 킬로미터만 있으면 EV 모드만 통과할 수 있다. 측정된 Q50 S의 연비는 얼마였는가? 80km/h 주행에서 효율은 100km/h에서 110km/h 사이의 주행 환경에서 14km/L에서 17km/L 사이에서 나타났다. 전기 모터의 충분한 전력으로 EV 모드를 활용하고 준중형 연비를 실현할 수 있었다. 그것은 혼합물의 명백한 장점이다.
3.5리터급 엔진과 전기모터로 가속성능이 놀랍다. 경쟁 모델과 비교하면 가속력이 다르다. 사양 면에서는 364마력이지만, 400마력 이상을 전달한다. 그만큼 속도계는 빠르게 올라간다.
측정장비를 기준으로 정지로부터 시속 100km에 도달한 시간은 5.7초였다. 5.1초의 기록으로는 무리다. 하이브리드 모델의 특성상 발사관제나 노점 개시가 불가능했다. 또 시동을 걸면 저속에서는 토크가 매우 강해져 타이어가 버티지 못하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고성능 타이어와 노면 출발이 가능하다면 4초대 진입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휠 구동 출력을 측정했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300마력 이상, 40kgm의 최대 토크를 발생시켰다. 특히 2000rpm 전후부터 6000rpm까지 40kg 안팎의 토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충분한 강도로, 일상 운전 환경에서 보다 편안하게 운전할 수도 있다.